많은 진통에도 불구하고 최저임금법 수정안이 31일(2018.12) 확정되었다.
정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어 최저임금법 시행령 개정안을 심의·의결했다. 이번에 확정된 최저임금법 수정안은 최저임금을 산정할 때 법정 휴무시간인 주휴시간을 포함하되 노사 간 합의에 따라 정하는 약정휴일 시간은 제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정부는 지난 24일(2018.12) 국무회의에서 주휴시간과 약정휴일 모두 최저임금 산정에 반영하는 내용의 최저임금법 시행령 개정안을 상정했으나, 심의를 보류하고 약정휴일 시간을 제외한 수정안을 재상정하기로 했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지난 국무회의 직후 "법정주휴가 아닌 노사 간 약정에 의한 유급휴일수당과 시간까지 산정방식에 고려돼 경영계의 부담이 가중된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며 "수정안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주휴수당은 1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한 노동자에게 유급 휴일을 주는 제도로, 실제 일을 하지 않은 주휴시간도 근무시간에 반영해야 한단 것이 개정안의 내용이다.
개정안이 통과되면 주 40시간 일하는 노동자가 1달에 174시간을 일한 경우, 사업주는 주휴시간을 포함한 209시간을 기준으로 임금을 지급해야 한다. 따라서 이 노동자가 받는 월급 총액을 209시간으로 나눈 금액이 내년도 최저시급(8350원)을 넘겨야 사업주는 최저임금법을 위반하지 않게 된다. 노동자가 실제 일한 시간은 174시간이지만 사업주는 최소 174만5150원을 줘야 하므로, 실제 최저시급은 1만원이 넘게 된다는 계산이 나온다.
'사회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혜원 덕에 목포관광객 증가 임시관광안내소까지 설치 (0) | 2019.01.26 |
---|---|
삼양식품 전인장 회장 부부 50억 횡령 실형 선고 (0) | 2019.01.25 |
외국인의 국민의료보험 신청 요건 강화로 먹튀 방지한다 (0) | 2018.12.18 |
PC방 살인 김성수 정심감정 결과 심신미약 아니다 (0) | 2018.11.15 |
전국 공항 비정규직 4천명 정규직으로 전환 합의 (0) | 2018.08.13 |